XXX

제사라는 의식이 내 일이 아닌듯 느껴지는 때가 좋은 때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사든 추도예배든 돌아가신 분을 생각하고 추모한다는 것은 가까운 누군가를 떠나보낸 아픔을 안다는 것이기에 그리 반가운 의식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다 공감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의식속에서라도 떠난 분을 기억하고 그리워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는 의미에서라도 제사라는 의식이 단순히 옛것이나 전통의식이라는 이미지는 지워버려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부모지방쓰는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아직 부모님지방쓰는법에 대해 한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지만 아버지 기일이라며 술자리를 마다하고 들어가는 회사선배를 보니 언젠가는 나도 저런 날이 오지않을까 싶어 서글픈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모지방쓰는법

지방은 제사를 지내는 대상을 뜻하는 것입니다.

깨끗한 종이에 고인의 이름과 위치, 제사 지내는 사람과의 관계등을 적는데 이런 내용에 따라 작성법이 달라집니다. 할아버지나 할머니, 아버지나 어머니, 형제, 자매 등 관계에 따라서 지방 쓰는 방법이 다르며 돌아가신 분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제사 지내기 바로 전에 만들고 제사가 끝나면 태웁니다.




부모지방쓰는법 규격


지방은 원래 흰색 한지를 사용합니다.

요즘에는 한지보다 A4용지가 흔해서인지 에이포 용지에 쓰거나 프린터로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방 규격은 세로 22cm, 가로 6cm 로 윗쪽 모서리를 살짝 접거나 잘라내어 끝이 뾰족하게 하지 않도록 합니다. 

지방의 위쪽 모서리를 모나지 않게 하고 아래를 반듯하게 하는 것은 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부모지방쓰는법



부모지방쓰는법부모지방쓰는법


부모님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엔 하나의 지방에 부모님을 함께 씁니다.

이때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씁니다.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때는 중앙에 작성합니다.
이어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먼저 쓰며 다음으로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반드시 적은 후 마지막에 신위라고 순서대로 씁니다.

지방은 원래 한자로 적지만 경우에 따라 한글로 적기도 합니다. 

한글로 쓸 경우 한자음을 그대로 표기하거나 뜻을 풀어서 써도 됩니다.


왼쪽에 적는 아버지를 뜻하는 문구 -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

 顯(현)은 존경의 의미를 지니며 考(고)는 고인인 아버지임을 나타냅니다.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으로 통일해서 씁니다.

府君(부군)은 고인의 이름 대신 적는 것으로, 제사를 지내는 사람보다 윗사람임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에 쓰는 神位(신위)는 고인의 자리라는 의미입니다.




오른쪽에 적는 어머니를 뜻하는 문구 -  '顯妣孺人(현비유인)+본관+성씨+神位(신위)'

顯(현)은 존경의 의미를 지니며 妣(비)는 고인인 어머니를 뜻합니다.

고인이 여성인 경우 孺人(유인)으로 적고 고인의 이름에는 어머니 본관과 성씨를 적고 神位(신위)를 적습니다. 여자의 경우 남자와 달리 이름 대신 본관과 성씨를 적습니다. 

예로 어머니 성이 밀양 박씨라면 현비유인밀양박씨신위라고 적습니다.


부모지방쓰는법아버지, 어머니 지방 따로 쓸 때


따라서 부모지방쓰는법은 아버지 지방의 문구를 왼편에 쓰고 어머니 지방 문구를 오른편에 써서 함께 적으면 되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부모지방쓰는법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